ESG평가등급
구분 | 2021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---|---|
통합등급 | B | D | D | B |
E 환경 | C | D | D | C |
S 사회 | B | D | D | A |
G 거버넌스 | B+ | D | C | B |
※ 평가기관 : 한국ESG기준원
평가등급 체계 : S,A+,A,B+,B,C,D
Environmental
온실가스 배출량
[집계범위:본사사옥]
구분 | 단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목표 | 실적 | ||||
매출액 | 억원 | 6,107 | 6,062 | 6,288 | |
집약도 | tCO2-eq/억원 | 0.086 | 0.12 | 0.12 | |
총 배출량 | tCO2-eq | 523.7 | 726.4 | 1060 | 767.5 |
Scope 1 (직접배출) |
tCO2-eq | 166.3 | 317.7 | 400 | 334.4 |
Scope 2 (간접배출) |
tCO2-eq | 357.4 | 408.7 | 660 | 433.1 |
에너지
[집계범위:본사사옥]
구분 | 단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목표 | 실적 | ||||
집약도 | TJ/억원 | 0.0019 | 0.0028 | 0.0028 | |
사용량 | TJ | 12 | 17 | 20 | 18 |
폐기물
[집계범위:본사사옥]
구분 | 단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목표 | 실적 | ||||
총 배출량 | ton | 19.26 | 26.36 | 26.2 | 24.58 |
매립 | 2.07 | 2.83 | 2.9 | 2.7 | |
소각 | 3.84 | 5.26 | 5.3 | 5.01 | |
재활용 | 13.35 | 18.27 | 18 | 16.87 |
친환경 구매 기준
HDC랩스는 환경표지 인증제품, 저탄소 인증제품,GR(우수재활용) 인증 제품,기타인증(재생원료 및 재활용 자재류) 에
부합하는 품목들을 우선 구매 하고, 구매 실적을 공개하고 있습니다.
친환경 제품 구매 현황
[단위:천원)
구분 | 2023년 | 2024년 | 비고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총구매액 | 친환경 제품 구매액 |
비율 | 총구매액 | 친환경 제품 구매액 |
비율 | ||
친환경 자재 | 61,000 | 35,000 | 57% | 45,358 | 39,214 | 86% | ※ 23년 현장 : 인천청라업무시설, 개포디에이치퍼스티이 주민공동시설 ※ 24년 현장 : 청주가경 iPark M/H, VOCO Seoul 리뉴얼 |
친환경 용지 | 3,651 | 3,651 | 100% | PEFC 인증 | |||
친환경 명함 | 1,360 | 1,360 | 100% | FSC인증 | |||
계 | 61,000 | 35,000 | 57% | 50,369 | 44,225 | 95% |
※ 현장: 인천청라 업무시설 , 개포디에이치퍼스티이 아이파크 주민공동시설 친환경건설자재
환경 친화적 자동차 보유현황
[기준:2024년]
구분 | 단위 | 총계 |
---|---|---|
전체 자동차 보유 수량 | 대 | 97 |
친환경 자동차 | 10 | |
1) 전기자동차 | 1 | |
2) 하이브리드 자동차 | 9 | |
일반 자동차 | 87 |
근로자 환경교육
구분 | 목적 | 교육과정 | 교육대상 |
---|---|---|---|
환경교육 | 탄소중립의 필요성 이해 | 슬기로운 에너지 생활 탄소중립과 에너지자립을 위한 소비 생활(2024.07) |
본사 및 현장직원(346명) |
생물다양성 보존활동
구분 | 법정보호종 | 수량 | 활동내용 |
---|---|---|---|
생물다양성 보존활동 |
두메부추(산림청 지정 희귀식물) | 93본 | 본사 사옥 플랜터에 식재 하여 개체수 증가 및 보호 활동(2024.11) |
미선나무(산림청 지정 특산식물) | 5주 |
수질오염물질
[집계범위:본사]
구분 | 단위 | 2023년 | 2024년 | |
---|---|---|---|---|
수질오염물질 | TOC | Ton | 0.2124 | 0.2445 |
BOD | Ton | 0.3147 | 0.3622 | |
SS | Ton | 0.2832 | 0.326 |
※ 용수 사용량과 배출계수를 활용한 간접 산정 방식 활용
친환경 매출 산정 기준
구분 | 적용범위 | 산정기준 | 기준의 근거 |
---|---|---|---|
건설부문 | ZEB · 녹색건축물(G-SEED 등) 시공공사 및 리모델링 - 고효율 기자재 설비 - 친환경 자재 기반 인테리어 - ZEB 인증 건축물 내 전기 · 소방 시공 참여 |
친환경 기자재 및 자재 사용 항목의 시공 매출 |
G-SEED/ ZEB/ 고효율에너기자재 인증/ 환경표지 인증 |
ICT / 서비스 | ICT 기반 에너지 관리 솔루션 구축 및 운영 - 스마트 전력 / 조명 제어 시스템 - 실내환경 자동제어 솔루션 (Iot 센서 연계) - 에너지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 플랫폼 |
에너지 절감 효과가 입증된 ICT 시스템 시공 실적 |
Social
근로자의 다양성 지표
구분 | 단위 | 2023년 | 2024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총 임직원수 | 합계 | 명 | 5,418 | 5,712 | |
남자 | 명 | 3,187 | 3,435 | ||
여자 | 명 | 2,231 | 2,277 | ||
임원 | 남자 | 명 | 5 | 8 | |
여자 | 명 | - | - | ||
일반직근로자 | 남자 | 명 | 315 | 332 | |
여자 | 명 | 87 | 113 | ||
기간제 근로자 | 남자 | 명 | 2,867 | 3,103 | |
여자 | 명 | 2,144 | 2,164 | ||
근로자 자발적 이직률 | % | 30% | 18% | ||
관리자 직급의 인력 구성 | 남자 | 명 | 31 | 29 | |
여자 | 명 | 3 | 3 | ||
장애인 고용현황 | 명 | 99 | 158 | 부장: 2명 / 차장 : 4명 / 과장: 6명 / 대리: 8명 / 사원: 138명 | |
국가보훈자 고용현황 | 명 | - | 2 | 대리 : 1명 / 사원 : 1명 | |
외국인 고용현황 | 명 | 25 | 22 | 과장 : 1명 / 사원 : 21명 |
※ 주1) 근로자 자발적 이직률의 산출공식은 자발적 이직 인원 / 총 임직원수이며, 자발적 이직의 기준은 조직의 의사와 관계없이 개인의 판단하에 조직을 떠나는 것을 의미함
근로자 다양성 제고 목표
구분 | 단위 | 실적 | 목표 | |
---|---|---|---|---|
2023년 | 2024년 | 2025년 | ||
장애인 | 명 | 99 | 158 | 167 |
육아휴직 현황
구분 | 2023년 | 2024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육아휴직사용자 | 남성 | 2 | 9 | |
여성 | 6 | 8 | ||
육아 휴직 복귀율 | % | 100 | 82 | ※ 10명 육아휴직 휴직 中 |
육아 휴직 고용 유지율 | % | 100 | 23 | ※ 육아휴직 종료후 6개월 고용 유지 비율 |
교육 프로그램
구분 | 목적 | 교육과정 | |
---|---|---|---|
역량모델 | 공통 | 공통역량 공유 / 내재화 | · 개인별 역량 개발 자율 교육 · 실무 중심 데이터 활용 &시각화 과정 |
리더십 | 계층별 적합 리더십 함향 | · 피드백 역량 강화 교육 | |
직무 | 직무역량 및 직무 전문성강화 | ·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(전 직군별) · 사내 강사 육정 과정 |
구분 | 목적 | 교육과정 | 교육대상 |
---|---|---|---|
공정거래 및 공정경쟁 | 업무상 발생할수 있는 불공정거래 및 부정경쟁 이슈 예방 |
윤리경영교육(2024.8) | 전 임직원 |
공정거래 교육(2024.11) (공정거래법 및 사례 교육) |
관리본부 담당자급 |
교육훈련 비용
구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---|
금액 | 23백만원 | 176백만원 | 457백만원 |
산업재해발생지표
구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
사망사고 만인율 | 0.00% | 0.00% |
동종동규모 평균 | 0.24% | - |
※ 2024년 동종동규모평균: 공단 24년 7월1일 공시로 이후 공개
인권 고충처리 현황
구분 | 단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---|
고충 처리율 | % | 100 | 100 |
고충 접수 건수 | 건 | 6 | 12 |
고층 해결 건수 | 건 | 6 | 12 |
협력사 사회적 책임 이행 지원 프로그램
구분 | 목적 | 교육과정 | 교육대상 | 교육시간 |
---|---|---|---|---|
협력사 ESG 교육 | 협력사 사회적 책임 이행 지원 | ESG 이해 ('24.12) |
협력업체 11곳 | 1시간 |